정보보호 컨설팅
최신 정보보호 관련 법률 및 동향을 바탕으로 고객사 현황을 진단하여 정보보호 대책을 수립합니다.
고객사의 중·장기적 업무 전략에 적합한 전락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실질적인 정보보호 수준 향상이 가능합니다.
-
요구 사항 및 환경분석
- 조직 및 업무 환경 분석
- 정보보호 요구 사항 분석 및 현황 파악
-
-
위험 분석
- 자산 분석
- 위협 분석
- 관리/물리/기술적 취약점 분석
- 위험 평가
-
-
추진 과제 선정
- DOA(Degree of Acceptance) 결정
- 위험 관리 우선 순위 결정
- 추진 전략 수립
-
-
이행 계획
- 이행 계획 수립
- 세부 조치 방안 수립
- 개선 활동 지원
개인정보보호 컨설팅
고객사의 개인정보보호 현황 및 이슈 사항을 분석하여 관리적/물리적/기술적 측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.
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정책/지침/절차 등을 수립 및 보완할 수 있습니다.
-
현황 분석
-
-
개선 과제 도출
- 개인정보 취급 현황 및 생명 주기 분석
- 개인정보 영향 평가 항목/개인정보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 등 점검
- 개인정보 위험 분석
-
-
구현
-
-
이행 지원
정보보호 인증지원 컨설팅
조직의 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외부기관의 객관적인 평가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국내 인증으로는 ISMS(-P), 국제 인증으로는 ISO 27001이 있습니다.
-
착수 및 사전 분석
- 계획 수립
- 요구 사항 및 환경 분석
- 인증 범위 확정
-
-
위험 분석
- 정보 자산 분석 및 중요도 평가
- 취약점 진단 및 모의 해킹
- 관리체계 수준 진단
- 위험 평가
- 위험도 분석
-
-
보호 대책 수립 및 관리체계 구축
- 정보보호 대책 수립
- 우선 순위 결정
- 정보보호 대책 적용
-
-
인증 지원
- 인증 심사 문서 준비
- 인증 준비 교육
- 인증 증적 관리
- 인증 심사 지원
- 보안 조치 지원
클라우드 인증지원 컨설팅
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우드 보안인증제(CSAP)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CSAP를 획득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는 안정성 및 신뢰성을 검증받아 공공기관에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.
-
클라우드 보안인증제.
- 인증기준
- 『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』 제 23조 제2항에 따른 정보보호기준 준수여부
- 인증기관
-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
-
SaaS 표준등급
표준등급 유효기간 |
5년 |
표준등급 인증대상 |
전자결재, 인사 및 계 관리, 보안 서비스, PaaS 등 중요 데이터를 다루는 SaaS 서비스 |
통제항목 |
78개 항목 |
평가종류 |
최초평가 → 사후평가(4회) → 갱신평가 |
-
Saas 간편등급
표준등급 유효기간 |
3년 |
표준등급 인증대상 |
표준등급 대상 이외의 SaaS 서비스 |
통제항목 |
30개 항목 |
평가종류 |
최초평가 → 사후평가(2회) → 갱신평가 |
-
IaaS 인증 평가
표준등급 유효기간 |
5년 |
표준등급 인증대상 |
서버, 저장장치, 네트워크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|
통제항목 |
117개 항목 |
평가종류 |
최초평가 → 사후평가(4회) → 갱신평가 |
-
DaaS 인증 평가
표준등급 유효기간 |
5년 |
표준등급 인증대상 |
인터넷망 DaaS 서비스 및 DaaS 구성 필수 요소 (네트워크, 하이퍼바이저, 가상 PC 보안 SW등) |
통제항목 |
110개 항목 |
평가종류 |
최초평가 → 사후평가(4회) → 갱신평가 |